목록분류 전체보기 (108)
Keep going
안드로이드 파일구조 AndroidManifest.xml : 앱의 메인 환경 파일 MainActivity.java : 화면 구성을 위한 액티비티 컴포넌트, 이 파일이 수행되어 화면에 UI가 출력 res : 앱의 모든 리소스 파일 res/drawable : 리소스 중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폴더 res/layout : 리소스 중 UI 구성을 위한 레이아웃 XML 파일을 위한 폴더 res/mipmap : 리소스 중 앱의 아이콘 이미지를 위한 폴더 res/values : 리소스 중 문자열 값 등을 위한 폴더 R.java란? 개발을 하다보면 수백 개의 리소스가 만들어지는데, 코드 영역에서 이를 식별할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도와주기 위한 파일이 R.java입니다. R.java 파일은 툴이 자동으로 만들어줍..
Activity란? 액티비티는 UI 화면을 담당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액티비티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자바소스에서 Activity클래스를 상속해야 하며, 액티비티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명주기 메소드를 재정의하여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제작합니다. Activity의 특징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반드시 하나 이상의 Activity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개의 액티비티를 동시에 Display할 수 없습니다. Intent 를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도 불러낼 수 있습니다. 액티비티 내에는 프래그먼트(Fragment)를 추가하여 화면을 분할시킬 수 있습니다. 1개 이상의 view 또는 ViewGroup을 포함합니다. 각 액티비티는 manifests 파일에 등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pub..
안드로이드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개발을 한다. ▶컴포넌트란? 앱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이다. 안드로이드 앱을 작성한다는 것은 컴포넌트를 작성한다는 것이고, 개발자가 작성한 여러 컴포넌트를 종합해 하나의 앱을 완성하는 것이다. 안드로이드 앱에서 컴포넌트의 물리적인 모습은 클래스 일반 클래스의 생명주기 - 개발자 코드로 관리 안드로이드 컴포넌트 -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생성하여 관리, 소멸 컴포넌트는 앱 내에서 독립적인 실행단위 직접 결합하여 실행하지 않고 인텐트를 매개로 하여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구조 컴포넌트1이 다른 컴포넌트2의 실행을 시스템에 의뢰하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2를 실행하는 구조 ▶안드로이드 컴포넌트 종류 액티비티 : 어플리케이션의 UI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서비스 :..

의미 요소(semantic element) 의미 요소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소를 가리킵니다. 즉, 요소가 자기 스스로 브라우저와 개발자 모두에게 자신이 사용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해 주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의미 요소가 아닌 div 요소나 span 요소 등은 해당 요소가 무슨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코드를 살펴봐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미 요소인 table 요소는 코드를 보지 않아도 해당 요소가 표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이름만 살펴봐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헤더 영역을 나타내는 태그 헤더란 도입부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사이트 전체의 헤더도 있지만 특정 영역의 헤더도 있습니다. (한 문서 내에 여러 개의 header 요소가 존재 가능) 사이트에서 헤더..

정적인 페이지 - 동일한 요청에 대해서 동일한 내용의 페이지를 반환한다. 동적 페이지 - 동일한 요청이더라도 누가/언제 요청했는지에 따라 내용이 변하는 페이지이다. ex) 쇼핑몰 사이트의 장바구니 페이지 등 ◈ 웹 서버 HTTP 요청에 따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적절한 웹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웹 서버는 요청에 따라 정적인 컨텐츠(html, javaScript, css등) 를 제공하지만 동적인 켄텐츠는 제공해주지 못한다. 웹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을 WAS로 보내고,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한다.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가 합쳐진 형태이다.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Protocol이란? 프로토콜이란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 인간의 일상생활에도 정해진 규칙이 있듯이, 모든 프로그램도 정해진 규칙에 맞춰 개발했기 때문에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HTTP란?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두문자어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서버/ 클라이언트의 모델을 따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한테 요청을 보내고 이 요청을 받아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HTTP는 또한 무상태 프로토콜입니다. 무상태 프로토콜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고 나서 바로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끊는 것입니다. 무상태 프로토콜의 장단점 -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

예외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예외적인 상황을 줄여서 예외라고 한다. 즉 예외는 단순한 문법 오류가 아닌 실행 중간에 발생하는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을 뜻한다. ex) 나누기 프로그램에서 분모에 0을 입력했거나, 정수형 변수에 숫자가 아닌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콘솔창에 예외가 발생한 부분과 원인에 대해 알려주며 가상머신이 예외 상황을 처리한다. 즉 가상머신은 예외가 발생하면 그 내용을 간단히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해버린다. 주목할점은 예외 발생 순간에 프로그램이 종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방식의 예외 처리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예외 처리를 우리가 할 필요가 있다. try { ... 관찰 영역... } catch(Exceptionname e) { ... 처리 영역..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